[단독] 인터넷에 "맹독사 팔아요"…관리법은 공백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물리면 생명을 잃을 수 있는 독사들이 인터넷을 통해 버젓이 거래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제한적으로만 국내 반입이 가능하지만, 적발돼도 처벌할 법이 없어 논란입니다.<br /><br />신현정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반려동물 온라인 카페에 올라온 글입니다.<br /><br />독사를 판매한다는 내용인데, 전문가가 다뤄야 한다는 글이 눈에 들어옵니다.<br /><br />맹독을 품고 있어 자칫 사람의 목숨을 앗아갈 수 있는 종으로 전시나 연구 목적으로만 수입이 가능해 일반 파충류 분양 매장에선 볼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 "일반 파충류 매장에서 독사를 분양할 방법은 아예 없다고 봐야죠. 다른 경로로 해서 빠져나갔거나 혹은 밀수됐거나 이런 식으로…"<br /><br />해당 종의 개인 간 거래는 주로 밀수 등 비정상적인 경우가 많은데 이를 제재할 법은 없습니다.<br /><br />멸종위기 동식물 보호 국제 협약인 CITES에 포함되지 않아 양도 사실을 신고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이용하기도 합니다.<br /><br />때문에 이런 야생동물 반입을 제재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높아지고 있지만, 방식을 놓고 의견이 갈립니다.<br /><br />희귀 야생동물을 취급하는 업계에서는 일부 위험 종만 지정해 제재하는 '블랙리스트' 방식이.<br /><br />수의학 전문가들은 안전한 종을 지정하고 그 외 나머지 종을 제재하는 '화이트리스트' 방식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 "'리스트에 없는 동물이네' 하면 바로 신고가 들어가고 당국이 조사를 할 수 있죠… 팬데믹 시대에 어떤 동물이 어떤 위해를 가지고 올지 사실 우리는 잘 모르거든요."<br /><br />맹독사 등 위험 야생동물들이 버젓이 거래되고 있는 만큼, 안전사고를 예방할 제도적 장치가 시급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. (hyunspirit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